주로 지하철역, 편의점에서 급하게 현금이 필요할 때 무인 기기를 통해 인출하게 된다. 하지만 단 돈 1만 원을 출금해도 금액과 상관없이 1,100원 수수료가 발생해서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편의점 ATM로 수수료 없이이 현금 인출 및 이체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편의점 ATM 기기
CU, GS, 세븐일레븐 중 한 곳은 동네에 거의 다 있다. 그래서 은행지점이 멀거나 급할 때 자주 편의점 ATM을 사용하게 된다. 보통 점주는 편의점 실내에 설치하거나 입구 쪽에 설치해서 미끼용으로 많이 설치를 한다.
하지만 단 돈 1만 원을 인출하는데도 1,100원 수수료가 붙어서 배보다 배꼽이 크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조금만 정보를 알아보면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수수료 없이 현금을 인출하거나 송금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
편의점마다 제휴 맺는 은행이 다르다. 아래 3사 편의점별로 제휴 맺은 은행 목록이다(▼). 본인의 소지 카드가 어느 편의점과 제휴 맺고 있는지 확인해서 이용하면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다.
아 물론 여기에는 은행영업 시간 동안만이라는 제한이 붙는다.
유의
보통 평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 또는 6시까지는 무료로 인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후 이용하려면 수수료가 기존대로 발생한다. 참고로 토요일은 이보다 짧다는 점을 인지하자. 그리고 평일 11시 50분~12시 20분 사이는 서비스점검 시간이라 이용이 불가하다.
편의점별 ATM기 제휴은행
GS25
신한은행 | KB 국민은행 |
우리은행 | SC 제일은행 |
토스뱅크 | 카카오뱅크 |
저축은행 | NH투자증권 |
K 뱅크 | 삼성증권 |
광주은행 |
세븐일레븐
KB 국민은행 | 카카오뱅크 |
부산은행 | 경남은행 |
토스뱅크 | 제주은행 |
유안타증권 | L페이 |
씨티뱅크 | KB증권 |
CU
DGB 대구은행 | 경남은행 |
토스뱅크 | 카카오뱅크 |
삼성증권 | 유안타증권 |
웰컴저축은행 |
CU 편의점이 제휴 은행이 가장 적다. 세븐일레븐과 CU 편의점은 KB국민은행 카드가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토스뱅크와 카카오뱅크다. 이 두 곳은 3곳의 편의점 이외에도 이마트 24, 미니스톱 편의점, 개인 편의점 등 모든 곳에서 수수료가 0원이다.
두번째 방법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이용하기. 토스와 카카오뱅크는 은행 영업시간에 영향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인이 소지한 카드별로 해당 편의점을 찾는 번거로움이나 은행영업시간에 구애받고 싶지 않다면 24시간 언제든 0원으로 인출가능한 카카오뱅크 또는 토스뱅크를 이용하면 된다.
사용법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겠지만, 어떤 은행의 계좌를 사용하든 카카오뱅크로 필요한 금액을 송금한 뒤 '스마트 출금' 또는 카카오뱅크 화면을 더치해 인출하면 된다. 카카오뱅크는 현금인출 용도로만 쓰는 걸로.

추가 꿀팁
CD기와 ATM기는 다르다. 둘 다 무인 현금인출 기기라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CD기 = 현금인출기는 말 그대로 현금인출 및 잔액조회 기능만 제공한다.
반면 ATM기는 현금인출 무통장 입금, 이체 등 송금 서비스까지 제공된다. 보이스피싱 이슈로 2023년 4월부터 ATM 이체한도는 50만으로 축소되었으니 참고 바란다.
널린 게 편의점이지만 간혹 설치 안 한 점주도 있고, 필요할 때는 눈에 잘 안 들어오는 게 사람 일이다. 그럴 땐 카카오맵을 통해 ATM이라고 검색하면 현재 위치에서 ATM기기 위치를 금방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편의점 ATM기로 수수료 없이 현금 인출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본인 카드사가 어느 편의점에 속하는지 알고 있으면 쌩돈날릴 필요는 없다. 귀찮다면 그냥 카카오뱅크를 이용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