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청년도약계좌 6월 신청 접수는 마감되었죠. 하지만 이후 매달 신청일자가 열리니 급하게 서두를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5년 만기, 5천만 원 만기수령액을 강조한 상품인데 이는 월 70만 원을 60개월 납부해야만 얻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그래서 조금 더 현실적인 시각에서 정리해 봤습니다.
* 아래 나오는 계산은 개인적으로 직접 계산한 내역들이며,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입을 고려 중인 분들에게는 충분히 도움 되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2023년 2024년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액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2023년 6월 새로 출시된 정부지원 금융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현재까지 최소 2024년 12월까지 지속적으로 가입자를 받을 예정입니다. 월별 상세 일정은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가장 중요한 만기 시 최종 실수령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부나 언론 보도에서 5년 만기,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는데요. 청년들의 중장기 목돈 마련에 발돋움할 수 있는 도구가 되는 것이 도약계좌의 본 취지입니다.
비과세 혜택, 매월 2.1~2.4만 원 입금되는 정부지원금, 거기에 3년 고정 기본금리 4.5% 적용(이후 2년 변동금리)이라는 메리트가 상당한 금융상품임에는 틀림없습니다.
- 청년도약계좌의 상세한 혜택이 궁금하다면 이 포스팅이 도움 됩니다
만기수령액 5천만 원 모으려면
문제는 만기까지 5년이나 걸리고, 5천만 원 만기수령액을 만들려면 최대 본인납입금인 70만 원을 60개월간 꼬박 납부해야만 얻어갈 수 있는 금액인데요.
따라서 홍보는 이렇게 했지만 현실성을 따져볼 때 연 2400만 원 이하 저소득 청년이 70만 원 납부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조금 더 현실적인 관점으로 납부액을 설정하여 만기수령액을 직접 계산해 보았습니다.
아직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고민 중이시라면 읽어보시고 충분히 고민해 보셔도 늦지 않습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 - 은행 금리 정부지원금 비과세 혜택 등 정리
2023 청년도약계좌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6월 신청접수는 마감했지만 현재 공고에 따르면 2024년 12월까지, 매 달 첫 2주간 신청일이 열리니 서두르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본 금리 4.5% 적용
forrestmind.tistory.com
월 납입금 및 소득구간 별 만기수령액
청년도약계좌 5년 만기, 5천만 원.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가장 많은 구간에 있으실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3600만 원 이하 분들을 기준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직접 계산해 보았으니 여러분의 상황에 맞게 대입해서 계산해 보셔도 됩니다.
1-1.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청년 - 월 70만 원 납부 시
▶본인 납입액(원금)
70만 원 * 60개월 = 4,200만 원
▶본인 납입액(원금)에 따른 이자
-납입액에 대한 기본금리 4.5% 수익 (5년 치) = 567만 원
- 1년 차 : 70만 원 * 12개월 * 4.5% = 37만 8천 원
- 2년 차: 70만 원 * 24개월 * 4.5% = 75만 6천 원
- 3년 차 : 70만 원 * 36개월 * 4.5% = 113만 4천 원
- 4년 차 : 70만 원 * 48개월 * 4.5% = 151만 2천 원
- 5년 차 : 70만 원 * 60개월 * 4.5% = 189만 원
-납입액에 대한 [소득+ 우대금리] 0.5% 수익 (5년 치) = 63만 원
- 1년 차 : 4만 2천 원
- 2년 차 : 8만 4천 원
- 3년 차 : 12만 6천 원
- 4년 차 : 16만 8천 원
- 5년 차 : 21만 원
*[소득+ 우대금리]는 총 급여 2400만 원 (또는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청년에게만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금리를 말합니다. 11곳 은행 모두 0.5%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개인소득이 이 이상이 된다면 해당 추가금리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은행별 우대조건 충족 시 적용되는 일반 '우대금리'와는 다른 것입니다.
▶▶총합산 : 원금 + 기본금리 4.5% + [소득+ 우대금리] = 4,830만 원
- 4,200만 원 + 567만 원 + 63만 원
▶▶정부기여금 + 기여금에 따른 4.5% 기본금리 수익 (5년 치) = 160만 원
- 정부기여금 원금 : 2만 4천 원 * 60개월 = 144만 원
- 정부기여금에 대한 기본금리 4.5% 수익 (5년 치) = 16만 원
★ 비과세 적용, 5년 만기수령액 : 4,830만 원 + 160만 원 = 4,990만 원
- 여기에 은행별 우대조건 충족 시 우대금리 적용에 따라 최대 5,000만 원 가능
이와 같은 계산으로 5년 만기수령액 약 5천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월 70만 원씩 5년간 납부한다는 전제가 있다는 게 조금 무리인 것 같습니다. 연 2400만 원 급여를 받는 사람이 월 70만을 꼬박 60개월 간 납입할 수 있을까요?
개인적인 견해는 기여금을 최대치로 받을 수 있는 월 40만 원 납입이 현실적인 것 같습니다. 월 40만 원, 60개월 만기로 채우면 총수령액은 얼마일까요?
참고) 2,400만 원 이하 구간의 정부지원금 최대치는 월 40만의 6%인 2만 4천 원으로, 본인 납입금이 이보다 많더라도 동일한 금액이 지급됩니다. 40만 원보다 낮은 금액을 납부하면 납부금액의 6%가 지급되는 구조입니다(▼).

1-2.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 월 40만 원 납부 시
본인납부액 : 40만 원 * 60개월 = 2400만 원
본인납부액에 따른 4.5% 기본금리, 총이자 수익 : 324 + 36 = 360만 원
정부기여금 총수익(위와 동일) : 월 2만 4천 원씩 60개월 지급 + 기본금리 4.5% = 160만 원
★비과세 적용, 5년 만기수령액 : 2,400만 원 + 360만 원 + 160만 원 = 2,920만 원
아래는 위와 동일하게 계산한 내역이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인납부액에 따른 기본금리 4.5% 총수익 : 324만 원
1년 차 : 21만 6천 원
2년 차 : 43만 2천 원
3년 차 : 64만 8천 원
4년 차 : 86만 4천 원
5년 차 : 108만 원
▶본인납부액에 따른 [소득+ 우대금리] 0.5% 총수익 : 36만 원
1년 차 = 2만 4천 원
2년 차 = 4만 8천 원
3년 차 = 7만 2천 원
4년 차 = 9만 6천 원
5년 차 = 12만 원
▶정부기여금 총수익 = 월 70만 원 납부때와 동일 160만 원
정부기여금과 기여금에 대한 기본금리 4.5% 이자는 월 70 납부 시와 동일하므로 청년도약계좌에 월 40만 원, 60개월 납부 시 약 3,000만 원이라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계산 때문에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월 70만 원 납부 시 5천만 원, 월 40만 원 납부 시 약 3천 원을 만기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금(과세) 연 7.68~8.86% 짜리 상품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2. 연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 - 월 70만 원 납입 시
이 구간이신 분들은 달마다 70만 원 납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계산해 보았습니다. 또한 [소득+ 우대금리]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이건 뺐습니다.
본인 납입액 (원금) = 4,200만 원
납입액에 대한 4.5% 기본금리 적용, 총수익 = 480~587만 원
정부기여금 월 2만 3천 원, 60개월 총액 = 138만 원
정부기여금에 대한 기본금리 4.5% 적용, 총수익 = 15만 원
★ 비과세 적용, 5년 만기수령액 : 4,833~4,940만 원
총 급여 3,600만 원이 신 분들은 70만 원 60개월 납부 시, 4,900만 원 정도 만기수령액을 챙길 수 있겠습니다. 이 금액은 일반적금(과세) 연 금리 7.01~8.19%인 상품에 적금했을 때와 비슷한 효과입니다.
2023년 2024년 청년도약계좌 5년 만기수령액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소득이 적은 분들은 최대 납입금 70만 원을 매달 납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니, 첨부한 소득별 정부지원금 최대한도 금액에 맞춰 납입하는 게 현명한 방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