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년근로장려금3

근로장려금 가구유형 판단하기 근로장려금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신청자' 본인의 가구유형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가구유형에는 단독가구, 홑가구, 맞벌이 가구로 나뉩니다. 각 가구 유형에 따라 연급여총액이 일정 금액 미만이어야 합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근로장려금 지급액은 바로 이 가구유형에 따라 최대지급액이 달라집니다. [근로장려금 최대 지급액과 구간 확인하기] 신청자 본인의 가구 유형 확인하기 가장 중요한 것은 신청인 본인의 가구 유형이 어디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것입니다. 본인이 단독가구, 홑벌이가구, 맞벌이 가구 중 어디에 속하는지에 따라서 충족시켜야 할 소득기준이 달라지고 최종 근로장려금 지급액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세 가지 가구 유형 중 어디인지 헷갈리실 때는, 다음 개념만 알고 계시면 신청자 본인이 어느 가구인지.. 2023. 1. 3.
근로장려금 2023년 신청자격 (소득과 재산기준) 2023년 근로장려금은 신청 자격조건 중 하나인 재산조건이 완화되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액 역시 작년 대비 10% 인상되었습니다.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많이 아시는 부분이지만,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근로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는 조건은 크게 3가지입니다. 가구유형, 소득기준, 재산기준 이 세 가지입니다. 가구유형이 어디에 속하는지에 따라 충족해야 하는 소득기준과 실제 지급되는 근로장려금 액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가장 먼저 신청자 본인의 가구유형 파악이 중요합니다. 재산기준은 가구유형과 상관없이 공통으로 적용됩니다. 자신이 어느 가구유형에 속하는지 확인해보기 소득기준(가구 유형별) 신청인 자신의 가구유형을 파악했다면, 각 가구유형별 소.. 2023. 1. 2.
2023년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정기신청 일자 및 지급일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일자에 대해 정리해 두었습니다. 2023년 1.1 이후 신청자부터는 작년 대비 신청자격 중 하나인 재산요건이 완화되어 적용되며, 무엇보다 최고 지급액이 2022년 대비 10% 인상 지급됩니다. 단독가구는 최대 지급액이 150만 원에서 165만 원으로, 홑벌이 가구는 260만 원에서 285만 원, 맞벌이가구는 300만 원에서 330만 원입니다. 2023년에 근로장려금에 대한 신청건은 총 3번 있습니다. 정기신청 이외에 상반기, 하반기로 반기 신청제도가 도입되었기 때문인데요. 조금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는 것 같아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일자 및 지급일(반기 신청과 정기신청) 근로장려금 반기신청제도는 상반기를 일한 뒤 6개월 뒤에 한 번 받.. 2023. 1. 1.